2020. 4. 17. 20:10ㆍ일상제품/컴퓨터 및 주변기기
안녕하세요~
그동안 플라스틱으로 된 외장 HDD 케이스를 써서 몰랐던 것이 있습니다. 삼성 포터블 SSD T5는 메탈바디로 되어 있습니다. 노트북과 나스에 연결하니 뭔가 징~하는 느낌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표면이 까칠까칠한 것인지, 뭔가 막이 생긴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입니다. 검색을 해 봤더니 어느 블로그에 SSD 자체 접지가 안 되어 나왔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진짜 원인은 노트북 플러그에 접지가 없는 것 때문입니다.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제가 쓰는 S340-15 API R5도 메탈 바디인데, 정전기가 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접지가 원인일 거라고는 꿈에도 생각 못 했습니다. 접지라는 것은 말만 들었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잘 몰랐습니다. 검색하다 보니, 노트북 본체에 정전기 같은 것이 오면, 접지가 안 된 것 때문이라고 합니다.
콘센트나 멀티탭에 보면 빨간 원 안의 2개의 금속이 있습니다. 이곳이 접지 역할을 하는데요, 남은 전기가 제품으로 흐르지 않게 땅으로 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오래된 집 중에는 콘센트에 이런 것만 있고, 실제로 접지를 하지 않은 곳이 있어, 접지가 되지 않는 집도 있다고 합니다.
플러그에 보면 빨간 원 안에 있는 금속 부분이 콘센트의 금속 부분과 닿게 됩니다. 이 부분이 접지 역할을 합니다. 이 부분이 없는 플러그는 접지가 없는 것입니다.
접지가 있는 NAS 플러그는 중국 멀티탭에 꽂혀 있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중국은 빨간 네모가 접지이고, 빨간 원에 2개 꽂는 3개짜리 플러그와 파란 원에 꽂는 2개짜리 플러그가 있습니다. 한국형 플러그의 접지가 소용이 없습니다. 그래서 한국 멀티탭에 꽂아 보니 바로 NAS USB 포트에 꽂힌 SSD에서 느껴지던 정전기가 없어졌습니다.
우선 집에 쓰던 옛날 노트북 2대를 실험해 봤습니다. 접지를 하지 않았을 때는 SSD에 정전기가 흐릅니다. 노트북 어댑터는 접지가 없습니다. 접지가 있는 중국 to 한국 변환 코드를 꽂아 보니 소용없었습니다. 접지 역할을 못 해 주네요.
빨간 원 안의 네모 2개는 이중 절연이라는 뜻입니다. 절연이라 노트북에는 정전기가 안 흐르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USB 포트를 통해서 SSD로 정전기가 흐릅니다. 어댑터를 바꾸려면 빨간 네모 안의 OUTPUT 20V 3.25A를 우선 확인합니다. 20V*3.25A = 65W입니다. 65W 이상이면 쓸 수 있다고 하는데, A는 정품보다 조금 더 큰 것으로 쓰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노트북 DC잭의 외경과 내경을 확인해야 합니다. 저는 외경 4.0, 내경 1.7입니다. 이것의 크기도 같아야 합니다.
새로 구입한 플러그입니다. 접지가 있습니다.
20V 3.25A를 스티커로 붙여 두었네요. 이 부분이 좀 찝찝하긴 합니다. 65W를 만들려면 19V 3.42A도 가능합니다. 이 제품으로 바꿨더니 바로 SSD에 흐르던 정전기가 없어졌습니다.
'일상제품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D] WD, 도시바 SMR 이슈 간단 정리 (4) | 2020.05.05 |
---|---|
[HDD]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하드디스크 물리적으로 파괴하기 (0) | 2020.05.03 |
[SSD] 삼성전자 Portable SSD T5 (MU-PAB) (1TB) 보안 프로그램 설치 및 사양 (0) | 2020.04.16 |
[SSD] 삼성전자 Portable SSD T5 (MU-PAB) (1TB) 속도 및 온도 측정 (0) | 2020.04.15 |
[SSD] 삼성전자 Portable SSD T5 (MU-PAB) (1TB) 개봉기 (0) | 2020.04.15 |